현재 os가 ubuntu 20.04LTS 이기 때문에 rstudio-server-1.2.5001-amd64.deb 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최신버전 및 상세한 설정 및 설치과정은 위 공식문서를 참조 바란다.
Desktop 버전이 아닌 Server 버전으로 다운받아야 한다.
아래 명령어는 모두 rstudio 공식가이드문서에서 발췌한 사항으로, 최신버전이 나올때마다 가이드 문서가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따라서 아래 명령어의 문제가 있을경우 공식가이드문서를 꼭 참고하길 바란다.
# Rstudio 다운로드 공식홈페이지에서 최신버전 링크를 확인하여 다운로드 가능
# 링크 : https://rstudio.com/products/rstudio/download/#download
# 다운받을 download 폴더생성 후 들어가기
$ mkdir download
$ cd ./download
# download 폴더안에 Rstudio server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 sudo apt-get install gdebi-core
$ wget https://download2.rstudio.org/server/bionic/amd64/rstudio-server-1.2.5001-amd64.deb
$ sudo gdebi rstudio-server-1.2.5001-amd64.deb
STEP03 : 방화벽 설정하기
고정ip 설정하기 : VPC네트워크 > 외부 IP 주소 > 임시ip 를 고정ip로 변경(이미 고정IP가 인스턴스에 할당되어 있으면 넘어가도 된다.)
방화벽 설정 변경하기 : VPC네트워크 > 방화벽 규칙 > 방화벽 규칙만들기 에서 8787 포트에 대한 접속을 허가한다.
http://<고정IP 주소 입력>:8787 VM인스턴스에 설정한 고정 IP가 34.64.112.167 이기 때문에 34.64.112.167:8787 로 Rstudio 서버에 접속한다.
잘 접속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처음 접속하는데 Username과 Password를 입력해야하는게 당황스러운 부분이다. Rstudio server는 우분투(Ubuntu) 계정을 Username으로, 계정의 비밀번호를 Password로 인증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ComputeEngine VM인스턴스의 기본 계정인 gcpdev1234567로 로그인하거나 Rstudio server용 우분투 계정을 생성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기본 계정은 GCP에 실제 로그인한 계정 ID로 부여되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르다.)
STEP 01 : 기본사용자 비밀번호 설정하여 Rstudio 로그인하기
GCP는 VM인스턴스를 생성할때, 로그인한 계정 ID를 우분투(Ubuntu)의 기본 사용자로 자동으로 생성한다. 또한 Shell에서 sudo에 대한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도록 기본설정되어 있기 때문에(2022.02월 기준) 사용하면서 우분투 계정의 비밀번호를 사용해야 하는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Rstudio에 로그인해야 하기때문에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해야한다.
댓글